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43

부동산의 법적 개념 뉴스를 보면 생활관련정보 가운데 상당수가 부동산에 관련된 이야기입니다. 헌데 부동산이 뭐냐고 물어보면 그에 대하여 정확히 알고 있는 경우가 드물고, 피상적으로 토지나 건물처럼 움직이지 않는 재산정도로만 인식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에 법적으로 부동산의 개념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에 관하여 자세히 고찰해보고자 합니다. 민법 제99조 1항은 "토지와 그 정착물을 부동산으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2항에서는 "부동산 이외의 물건은 동산이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무엇을 부동산으로 하느냐는 각국의 실정에 따라 그 입법례가 다릅니다. 가령 독일을 비롯한 유럽 국가등은 토지만을 부동산으로 다루며, 토지의 정착물이나 토지위의 지상물은 이를 독립한 부동산으로 다루지 않습니다.. 2018. 11. 24.
신의성실의 원칙 근대사법은 개인주의, 자유주의를 기본으로하고 또한 권리 본위로 구성되어있어서 권리의 행사는 행사자의 절대자유이고, 본질적으로 무제한성을 가진다는 데서 출발하였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자본주의의 발달이 가져온 폐해들 특히 심각한 부의 불평등으로 인한 모순과 폐단이 발생하였고, 이로 인하여 현대 사회에서는 권리행사에 사회적인 제한을 하기에 이르렀습니다. 대한민국 민법에도 이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는데 제2조 1항에서 신의성실의 원칙을 그리고 2항에서는 권리남용 금지의 원칙을 규정하고있습니다. 이에 관한 내용을 간략히 알아보고, 이것이 구체화된 사례를 대법원 판례를 통하여 확인해도록 하겠습니다. 1. 신의성실의 원칙 - 권리의 행사는 신의에 좇아 성실히 하여야한다(민법 제2조 1항). 신의성실은 상대방.. 2018. 11. 23.
대한민국 헌법 변천사 요즘은 많이 잠잠해지기는 했어도 얼마전까지만해도 개헌 논의가 상당히 뜨거운 이슈였습니다. 87년 전두환 대통령의 호헌선언과 이로 촉발된 대학가의 시위 그리고 그러던중 발생한 이한열 열사의 사망과 이어진 넥타이 부대로 표현된 일반시민이 주체가 된 6.10항쟁에 결국 당시 노태우 민정당 대표가 국민적 열망에 항복을 하고 6.29 선언을 함으로써 여야합의로 대통령 직선제 개헌이 이뤄졌습니다 그리고 이 당시 탄생한 개정 헌법이 바로 지금까지 30년 이상의 생명력을 이어오고 있는 현행헌법입니다. 현행헌법은 9차 개헌이었습니다. 대한민국은 건국이래 1952년부터 1980년까지 불과 30년 남짓동안 무려 8번의 개헌을 하게되었으니, 30년이상을 유지하고있는 현행헌법과는 아주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습니다. 그처럼 빈번한.. 2018. 11.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