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레 애거시4 메이저대회 1회전 탈락후 이듬해 바로 그 대회를 우승한 선수들 페나조시대의 특징중 하나는 페나조는 절대로 대이변의 희생양이 되지 않았다는 점이죠. 제 기억으론 세계적인 탑클래스의 선수로 성장하고나서 페나조가 메이저대회 1회전에서 탈락했다는 뉴스는 지금까지 접해본 기억은 없었습니다. 그만큼 페나조가 차원이 다른 수준의 플레이를 구사한다는 뜻이겠죠. 헌데 90년대 테니스에서는 이미 메이저 대회를 우승하거나 4강이상의 좋은 성적을 거두고도 다른 대회에서 1회전 탈락을 하는경우가 심심찮게 있었습니다. 또한 오늘 얘기하려는 전년도 메이저 대회 1회전에서 탈락한 선수가 이듬해 우승을 해버리는 경우도 가끔이긴하지만 그래도 있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메이저대회 1회전 탈락한후 이듬해 바로 그 메이저대회를 우승한 선수를 소개할까 합니다. 다만 90년 US오픈 .. 2021. 2. 14. 테니스 4대 메이저대회 결승전 대역전극 호주오픈이 한창 벌어지고 있는 요즘 호주에서는 코로나 19가 다소 진정됐다고 판단됐는지 호주오픈 관중석에 조금이긴하지만 유료관중들이 보이더군요. 코로나 19로 지난 1년간 다소 어색한 롤랑가로,US오픈이 치뤄지고 윔블던은 제2차 세계대전이후 첨으로 대회가 열리지 못했더군요. 빨리 종식되길 진심으로 그리고 간절히 기원합니다. 오늘은 오픈시대이후 벌어진 4대 메이저대회 가운데 대역전승이 벌어진 결승전경기를 소개할까 합니다. 한마디로 결승전 스코어 0:2에서 3:2로 뒤집은 경기입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호주오픈과 윔블던 결승전에서 이런 경기는 없었습니다. 다만 할뻔한 경기는 있었습니다. 호주오픈의 경우 87년 결승전에서 호주의 팻 캐시가 스웨덴의 스테판 에드베리에게 1,2세트를 3/6, 4.. 2021. 2. 11. 테니스 명승부전 - 92년 US오픈 92년 US오픈 결승전은 90년 우승자 피트 샘프라스와 91년 우승자인 디펜딩 챔피언 스테판 에드베리와의 경기였습니다. 사실 이 결승전은 미국 테니스의 입장으로는 굉장히 큰 의미가 있는 경기였습니다. 92년 미국 남자 테니스는 4대 메이저대회중 US오픈을 제외하고 이미 나머지 3개 대회를 모두 미국 선수가 우승하는 기록을 남겼습니다. 앞선 호주오픈과 롤랑가로는 짐 쿠리어가 우승을 했고, 직전 대회인 윔블던에서는 안드레 애거시가 크로아티아의 고란 이바니세비치를 꺽고 감격의 메이저대회 첫 우승을 달성했습니다. 그래서 만일 샘프라스가 US오픈을 우승하면 미국테니스는 92년 벌어진 4대 메이저대회를 모두 우승하는 쾌거를 이룩하게됩니다. 오픈시대이후 69년 로드 레이버가 시즌 그랜드 슬램을 달성한 케이.. 2021. 2. 1. 테니스 명승부전 - 90년 US오픈 1990년 US오픈은 후대에 여러모로 회자되는 기록이 나온 대회였습니다. 우선 90년 8월에 세계랭킹 1위에 올랐던 스테판 에드베리가 1회전에서 구소련의 알렉산더 볼코프에게 0:3으로 패함으로써, 68년 오픈 시대 이후 지금까지 US오픈에서 1번 시더가 1회전에서 탈락한 유일한 대회로 기록되고 있습니다. 참고로 에드베리는 1990년 메이저대회에서 호주오픈 준우승( VS 이반 랜들), 프랑스 오픈 1회전 탈락(VS 세르게이 브루게라), 윔블던 우승, US오픈 1회전 탈락이라는 널뛰기 성적을 냈습니다. 특히 윔블던 우승후 US오픈 1회전 탈락이란 기록은 96년 네덜란드의 리카르트 크라이첵이 또 한 번 기록하는데, 그 당시 US오픈 1회전에서 크라이첵을 탈락시킨 선수가 바로 에드베리였습니다. 참 아이러니하.. 2021. 2. 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