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편의점(CU, GS25, 세븐일레븐 등)은 단순한 동네 가게를 넘어 전 세계 관광객의 필수 코스로 자리 잡았습니다. 바나나맛 우유부터 두바이 스타일 초콜릿까지, 외국인들은 한국 편의점 물건을 싹쓸이하며 독특한 품목에 열광합니다.
그런데 왜 이렇게 인기가 많을까요? 그리고 나라마다 다른 품목을 선호하는 이유는 뭘까요? 한국 편의점의 매력과 국가별 인기 품목을 자세히 알아봅시다!
<한국 편의점의 글로벌 인기 비결>
1. 한류와 K-콘텐츠의 파워
K-드라마, K-팝, 예능, 넷플릭스 콘텐츠가 전 세계적으로 한국 음식과 라이프스타일을 알리며 큰 역할을 했습니다. 관광객들은 오징어 게임, BTS 브이로그, 넷플릭스 흑백요리사에서 본 음식을 직접 맛보고 싶어 합니다.
예를 들어:
- 바나나맛 우유는 드라마와 유튜버들의 먹방 덕분에 한국 편의점의 상징이 됐습니다. 항아리 모양 용기와 얼음 컵 조합은 SNS에서 바이럴로 떠올랐죠.
- 밤 티라미수 컵은 흑백요리사로 화제가 되며 특히 대만 관광객들에게 큰 사랑을 받았습니다.
2. 독특하고 다양한 상품
한국 편의점은 즉석식품, 한정판 상품, K-팝 굿즈 등 독특한 물건들로 가득해 외국인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선사합니다.
- 한손한끼 단백질 쉐이크(말차, 피스타치오 맛)는 건강을 중시하는 대만 관광객들에게 인기입니다. 해외 인플루언서들이 ‘한국 건강식’으로 소개하며 입소문을 탔죠.
- 라면(특히 너구리)은 글로벌 한류 열풍 속에서 ‘RTA 라면’으로 불리며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 두바이 스타일 초콜릿은 2024년 CU가 출시한 상품으로, 틱톡에서 1억 2천만 뷰를 기록하며 인도네시아 관광객(49%) 사이에서 폭발적인 수요를 일으켰습니다.
3. 접근성과 관광 명소로의 매력
한국 편의점은 24시간 운영되며 명동, 홍대 등 관광지 중심에 있어 접근성이 뛰어납니다. 외국인들은 이를 ‘K-편의점 투어’로 즐기며 SNS에서 유행하는 제품을 사는 것을 여행의 필수 코스로 삼습니다.
- CU 명동역점에서는 외국인들이 캐리어를 펼쳐 물건을 대량 구매하는 모습이 흔합니다. 한손한끼 쉐이크는 1인당 평균 6.8개를 구매할 정도로 인기입니다.
4. 저렴한 가격, 높은 품질
한국 편의점 제품은 가격 대비 품질이 뛰어나 외국인들에게 매력적입니다.
- 소주는 해외에서 1~2만 원에 판매되지만 한국에서는 1,500~2,000원에 구매 가능해 동남아 관광객들이 대량으로 사갑니다.
- 마스크팩은 저렴하면서도 효과가 좋아 중국과 동남아 관광객들이 많이 구매합니다.
5. SNS와 인플루언서의 역할
틱톡, 인스타그램, 유튜브에서 한국 편의점 제품이 바이럴 콘텐츠로 퍼지며 외국인들의 구매 욕구를 자극합니다.
두바이 스타일 초콜릿은 틱톡 영상이 1억 2천만 뷰를 돌파하며 글로벌 트렌드가 됐고, 한국 편의점에서 이를 살 수 있다는 점이 관광객을 끌어들였습니다.
<나라별 인기 품목과 그 이유>
나라마다 선호하는 품목은 문화, 한류의 영향, 현지 트렌드에 따라 다릅니다. 주요 국가별 인기 품목을 알아볼까요?
1. 대만: 건강과 디저트를 사랑하는 관광객
- 인기 품목: 한손한끼 단백질 쉐이크(말차, 피스타치오), 밤 티라미수 컵
- 이유: 대만은 건강 지향적 식문화가 강해 단백질 쉐이크 같은 기능성 식품이 인기입니다. 한손한끼는 파우치 형태로 간편하며, 인플루언서들이 ‘한국 건강식’으로 소개해 화제가 됐습니다. 밤 티라미수 컵은 흑백요리사로 주목받으며 대만의 디저트 문화와 맞아떨어졌습니다(구매 비율 24.9%).
- 특징: 다양한 맛과 건강, 트렌드를 중시합니다.
2. 인도네시아: SNS 트렌드에 민감
- 인기 품목: 두바이 스타일 초콜릿
- 이유: 인도네시아 관광객은 이 초콜릿 구매의 49%를 차지할 정도로 열광합니다. 틱톡 1억 2천만 뷰와 한국 유튜버(주우재 등)의 콘텐츠가 결합된 결과죠. 인도네시아는 초콜릿 디저트 수요가 높아 한정판 상품에 열광합니다.
- 특징: SNS 기반 트렌드와 화제성 있는 상품을 선호합니다.
3.중국: K-팝과 뷰티에 푹 빠진 관광객
- 인기 품목: 바나나맛 우유, K-팝 앨범(세븐틴), 마스크팩
- 이유: 중국의 강력한 K-팝 팬덤 덕분에 세븐틴 앨범 같은 굿즈가 편의점에서 인기입니다. 바나나맛 우유는 한류 드라마로 익숙하며, 저렴한 가격과 귀여운 디자인이 매력적입니다. 마스크팩은 한국 뷰티의 높은 인지도로 대량 구매됩니다(2015년 코트라 보고서: 중국 팩 시장 상위 5개 중 4개가 한국 브랜드).
- 특징: K-팝과 뷰티 제품을 대량 구매하는 경향이 강합니다.
4. 미국·말레이시아: 수집품 마니아
- 인기 품목: 포켓몬, 테라스탈 카드(특히 이브이)
- 이유: 포켓몬은 미국과 말레이시아에서 큰 팬덤을 보유하며, 한국 편의점의 한정판 카드는 수집가들에게 매력적입니다. 특히 이브이 카드는 귀여운 디자인으로 인기를 끌었죠. 미국은 TCG(트레이딩 카드 게임) 문화가 발달해 수요가 높습니다.
- 특징: 한정판과 팬덤 기반 소비에 열광합니다.
5. 일본: 실용적이고 체험형 상품 선호
- 인기 품목: 마켓오 브라우니, 요술 버선, 때비누·때수건
- 이유: 마켓오 브라우니는 일본에서 한국보다 20% 비싸게 팔려 대량 구매 대상입니다. 요술 버선은 저렴하고 독특한 디자인이 젊은 여성들에게 인기입니다. 때비누와 때수건은 ‘한국 때밀이 체험’이 일본 관광 트렌드로 떠오르며 사랑받습니다(아마존에서도 인기 상품).
- 특징: 실용적이거나 한국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상품을 선호합니다.
6. 최신 트렌드와 데이터
2025년 4월 서울경제 보도에 따르면, K-편의점은 외국인 관광객의 필수 코스로 자리 잡아 품절 사태가 빈번합니다.
- 두바이 스타일 초콜릿은 2024년 CU 매출 1위를 차지하며 바나나맛 우유를 제쳤습니다. 이는 글로벌 트렌드와 한국의 빠른 상품 개발이 만나 이룬 성과입니다.
- CU의 택스 리펀드 데이터(2023~2024)에 따르면, 외국인들은 일반 상품보다 3배 이상 많이 구매하며 한정판 상품에 열광합니다.
- GS25는 ‘라면 라이브러리’ 같은 K-라면 특화 매장을 확대하며 외국인들의 한국 음식 체험 수요를 충족시키고 있습니다.
7. 결 론
한국 편의점의 인기는 한류, SNS, 독특한 상품, 저렴한 가격, 접근성이 결합된 결과입니다.
대만(건강식), 인도네시아(SNS 트렌드), 중국(K-팝·뷰티), 미국·말레이시아(수집품), 일본(실용·체험형 상품) 등 나라마다 다른 선호도는 각국의 문화와 트렌드를 반영하죠.
두바이 스타일 초콜릿 같은 상품이 글로벌 트렌드를 타며 품절 사태를 일으키는 모습은 한국 편의점이 단순한 가게를 넘어 글로벌 관광 명소로 자리 잡았음을 보여줍니다.
'시사, 이슈, 생활정보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의 중국 기업 상장폐지 검토 - 대통령의 권한은 어디까지? (2) | 2025.04.21 |
---|---|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 (1) | 2025.04.21 |
주 4.5일제, 정말 가능할까? 제조업과 비제조업의 현실적 분석 (1) | 2025.04.21 |
기아 타스만: 픽업트럭의 새로운 기준을 세우다! (5) | 2025.04.20 |
트럼프 취임 이후 미국과 영국 대법원의 트랜스젠더 정책 (1) | 2025.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