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 이슈, 생활정보

호위함 건조에 미국은 7년, 한국은 3년

by 시사맨 2025. 3. 23.
반응형

 

 

 

 

 

해당 기사들은 미국 해군의 전함 건조 계획과 현실적인 문제들, 그리고 중국과의 경쟁 상황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을 정리하고 분석해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1. 미 해군의 건조 목표와 비용 문제

  • 목표: 2054년까지 전함 수를 390척으로 늘릴 계획.
  • 현재: 295척 수준.
  • 필요 예산: 매년 약 400억 달러(약 58조 원)로, 이는 한국 전체 국방 예산에 준함.
  • 문제점: 예상보다 17% 더 많은 비용이 들고 있음. 특히 10년간 건조 실적은 목표보다 훨씬 뒤처짐.

2. 중국과의 해군 경쟁

  • 중국 해군 성장: 2030년까지 전함 435척 확보 예상.
  • 건조 속도: 미국보다 2배 이상 빠름.
  • 현재 전함 수: 중국 370척 이상 vs 미국 295척.

3. 컨스텔레이션급 호위함 사례

  • 건조 지연: 2026년 진수 목표였지만, 2년 반 지난 지금 10%만 진행됨.
  • 설계 문제: 원래 핀칸티에리 설계를 채택했으나, 미국 해군의 잦은 설계 변경으로 원래 설계와는 15%만 유사.
  • 건조 비용 폭등: 초기 1척당 1.3억 달러 → 현재 19억 달러(약 2조7844억 원).

4. 기술적 변화와 문제점

  • 설계 변경: 추진기, 프로펠러, 냉각·환기 시스템 등 다수 변경 → 무게 10% 증가, 속도 감소.
  • 부가 요인: 미국 내 철강·알루미늄 산업 보호 정책으로 원자재 가격 상승.

5. 주요국 건조 속도 비교

  • 컨스텔레이션급 기준:
    • 한국/일본: 약 3년
    • 중국: 약 5년
    • 미국: 약 7년
  • 구축함 사례:
    • 한국 이지스함: 2~3년
    • 미국: 7~8년
    • 중국: 6년

종합 분석

  • 미 해군의 문제:
    • 과도한 설계 변경과 비효율적인 조선 시스템, 숙련 노동력 부족, 비용 상승.
    • 결국, 양적 확대와 질적 우위를 동시에 추구하면서도 두 마리 토끼 모두 놓치는 상황.
  • 중국의 전략적 우위:
    • 빠른 건조 속도와 예산 효율성.
    • 미국과의 해상 패권 경쟁에서 양적 우위를 통해 빠르게 격차를 좁히는 중.
  • 한국 조선 능력의 비교 우위:
    • 미국보다 훨씬 빠른 건조 속도와 효율성.
    • 이는 한국 방산 조선소의 해외 진출 및 미국 해군 조선 관련 외주 수주 가능성을 시사함.

 

반응형